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이재명 기자, 첫 번째 주제 갈까요? <br> <br>"낯 두껍기가 곰 발바닥" <br>이렇게 제목을 달았습니다. <br><br>사실 이 표현의 지적저작권은 북한에 있습니다. <br> <br>지난 6월 일본이 전제조건 없이 정상회담을 열자, 이렇게 제안하자 조선중앙통신은 아베 패당의 낯가죽 두텁기가 곰 발바닥 같다며 정상회담 제안을 걷어찼습니다. <br> <br>바로 이때 나온 이 기상천외한 표현이 오늘 정치권에서 등장했습니다. <br> <br>[김재원 / 자유한국당 정책위의장] <br>선거법을 워낙 엉터리로 자기네들 이익과 자기네들 밥그릇 챙기기로 끌고 가려고 하니까, 그런 불법적이고 변칙적인 제도를 만들려고 하니까 경고를 하는데, 낯짝 두껍기가 곰 발바닥보다 더한 분… <br><br>Q. 북한이 창의적인 표현을 잘 만들어내죠. 그런데 김재원 의원은 도대체 누굴 향해서 그런 표현을 쓴 건가요? <br><br>바로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입니다. <br><br>어제 한국당은 범여권이 연동형 선거제를 밀어붙이면 '비례한국당'을 만들겠다, 이렇게 공개적으로 압박했죠. <br><br>그러자 손학규 대표는 "어떻게 그런 발상을 하느냐. 이게 거대 양당의 폐해다" 이렇게 지적했습니다. 이에 대한 한국당의 응답이 <br>바로 '곰 발바닥'인 겁니다. <br><br>Q. 요즘 국회를 보면 딴 세상 같아요. 비례한국당도 그렇고, 연동형 선거제도 그렇고 뭘 하겠다는 건지 알기도 어려운데, 여튼 엄청 싸우고 있네요. <br> <br>맞습니다. 한국당은 범여권이 한국당을 빼고 선거법을 논의한 것 자체가 군소정당 밥그릇 챙기기다, 이렇게 주장하는 반면, 범여권은 비례대표선거만을 위한 정당을 새로 만든다는 게 말이 되느냐, 이렇게 맞받아치고 있습니다. <br><br>[설훈 /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(CBS, 김현정의 뉴스쇼)]<br>(비례한국당이라는) 괴물을 만들어 내놓겠다라고 하는데, 국민들이 그걸 받아들일까요? 자유한국당이 지금 하고 있는 작태는 순전히 꼼수로서 어떻게 하면 이 자리를 유지해볼까… <br> <br>[백승주 / 자유한국당 의원 (YTN, 노영희의 출발 새아침)]<br>'꼼수'나 '신의 한 수'나 같은 의미에요. 4+1의 야합에 의해서, 짬짬이에 의해서 (선거법 개정안이) 통과된다면 비례한국당을 만들어서 연동형 부분에 우리가 몫을 찾아야겠다. <br><br>Q. 이 이야기는 꼼수에 변칙으로 대응하겠다는 건가요? <br><br>맞습니다. <br> <br>일각에선 한국당이 비례한국당을 공개적으로 언급한 게 민주당을 압박해서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흔들기 위한 전략이다, 이런 주장도 나옵니다. <br><br>실제 한국당은 치고 빠지는 듯한 그런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[심재철 / 자유한국당 원내대표]<br><br><어제> <br>만일 민주당과 좌파연합세력이 이 같은 연동형 선거제를 밀어붙인다면 우리는 '비례한국당'을 만들 수밖에 없음을 미리 말씀드립니다. <br><br><오늘> <br>뭐 비례한국당을 지금부터 만든다, 구체적으로 누구한테 지시해서 뭐 한다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. 단지 우리도 대응 방안으로써 그걸 검토를 해야 하겠다. <br><br>Q. 그런데 며칠 전 저희가 소개도 했지만 비례한국당이란 당명은 이미 다른 사람이 등록해서 못 쓴다면서요? <br> <br>맞습니다. 다만 한국당 내에선 총선을 앞두고 당명 변경을 고민하고 있습니다. '행복한 나의 당' 등이 거론되고 있는데, 그렇게 되면 비례행복당이 만들어질 수도 있겠죠. <br> <br>어쨌든 공정한 룰 속에서 깨끗하게 치러져야 할 선거가 꼼수와 변칙으로 얼룩지는 건 아닌지 걱정되네요. <br><br>Q. 네, 민심 얻을 생각들은 안 하고, 서로 규칙만 유리하게 만들려고 싸우고 있으니 답답합니다. 다음 주제 갈게요. <br> <br>"이젠 자유" <br>이렇게 제목을 붙였습니다. <br><br>진중권 동양대 교수가 어제 사직서를 제출했다며 자유를 선언했습니다. <br> <br>그러면서 '내가 돈이 없지, 가오가 없나.' 이렇게 말했는데, 많이 들어본 대사죠. <br> <br>영화 <베테랑> <br>"야, 우리가 돈이 없지, 가오가 없어?" <br> <br>그런데 이 영화 속에는 이런 대사도 나옵니다. <br> <br>영화 <베테랑> <br>"근데 죄는 짓고 살지 맙시다." <br> <br>아마도 진중권 교수, 이 대사를 인용해 진보 진영에 메시지를 전하고 싶었던 게 아닌가 싶습니다. <br><br>Q. 진중권 교수, 조국 사태로 팬도 안티도 다 늘었어요. 처음부터 조국 전 장관 임명에 부정적이었죠? <br><br>맞습니다. 특히 조국 전 장관 딸의 동양대 총장 표창장 위조 의혹을 앞장서 제기했었죠. <br> <br>지난달 저와의 통화에서는 진보 진영에 대한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[진중권 / 동양대 교수 (지난달 15일, '여랑야랑' 인터뷰)]<br>말 통한다는 유시민 씨라든지 공지영 씨라든지 모든 사람이 다 그쪽(조국 전 장관) 편을 든 거 아니에요. 한때 나랑 같은 곳을 바라보고 있었던, 믿었던 사람들이 엉뚱한 데서 저러고 있으니까 패닉이 온 거죠. 자기가 잘못된 판단을 내려도 그걸 잘못됐다는 인정을 안 하잖아요. 그거는 진보의 태도가 아니잖아요. <br><br>Q. 이번 사표 제출도 이런 고민 속에서 나왔을 것 같네요.<br> <br>사직서 작성 날짜가 9월 10일, 즉 조국 전 장관이 임명된 바로 다음 날입니다. <br> <br>이미 3개월 전 마음을 먹었다는 건데요, 최성해 동양대 총장은 진 교수의 사직 배경을 이렇게 전했습니다. <br> <br>[최성해 / 동양대 총장]<br>지금 (학교) 안에서 이야기를 하면 총장님하고 자꾸 짜고 하는 것처럼 돼서… <br><br>최 총장은 진 교수가 학교를 떠나 더 활발하게 활동하지 않겠냐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습니다. <br><br>Q. 그런데 최성해 총장도 학위가 일부 허위로 드러나서 면직 요구를 받고 있죠? <br><br>맞습니다. 그래서 진보 진영에서는 최 총장이 물러날 수밖에 없자 진 교수도 사직서를 낸 것 아니냐, 이런 지적도 나옵니다. <br><br>진중권 저격수로 불리는 공지영 작가는 진 교수의 사직을 두고 명분도, 정의도, 메시지도 없다며 비판하기도 했습니다. <br><br>반면 하태경 의원은 새로운 진보를 만들라며 응원 메시지를 전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진보와 보수, 서로 의견은 다를 수 있지만 영화 속 이 한 마디는 가슴에 품고 살아야겠습니다. <br> <br>오늘의 한마디는 '죄는 짓고 살지 말자' 이렇게 정했습니다. <br><br>네, 진 교수의 다음 행보가 또 궁금해집니다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